Published Date : 2017년 11월 2일
Author : kias
인공지능, 왜 대중의 흥미를 끄는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발달로 인해 어떠한 미래가 펼쳐질 것인가’란 의문은, 과거 과학소설(science fiction)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늘날 SF영화(sci-fi movies)에 이르기까지 과학을 다룬 대중문화의 단골 소재였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현명한 판단을 내리도록 도와 미래사회를 윤택하게 해줄 새로운 기술로 각광을 받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창조주인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그의 안위를 위협할 공포의 피조물로 비춰지기도 한다.
사실 아직은 인공지능이 인간과 같은 ‘생각’을 하고 ‘판단’을 하여 스스로의 ‘행동’을 이끌어 낼만큼 기술 발전을 이루진 못하였다. 다만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예측해본다면, 인공지능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여 행동하는 것은 단순한 시간문제일지도 모른다. 발명가이자 미래학자인 레이 커즈와일이 자신의 저서 『특이점이 온다(The Singularity Is Near)』(2006)에서 언급했듯이, 나노머신과 더불어 본격적인 인공지능의 등장은 단순히 먼 미래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따라서 지금 으로부터 그다지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는 인공지능의 시대를 맞이할지도 모른다.
한편, 과학과 기술의 세계가 아닌 다른 한 편에서 이러한 인공지능의 시대를 미리 예측한 인간의 또 다른 결과물들이 있으니 이는 바로 대중문화이다. SF라는 용어의 모태가 되는 과학소설은 1960년대 이래로 꾸준히 인공지능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일례로 동명 영화의 모태가 된 아서 클라크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1968)나 사이버 펑크 장르의 효시가 된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Neuromancer)』(1984) 등의 작품은 인공지능이 불러올 미래를 예측하여 독자들에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과학소설의 선례를 따르되, 박진감 넘치는 시각 이미지를 제시하여 대중에게 더 큰 반향을 불러일으킨 것이 바로 SF영화이다. 사실 영화는 초창기 작품인 조르주 멜리에스 감독의 <달 나라 여행(Le Voyage dans la Lune)>(1902)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SF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1950년대는 SF영화의 중요한 시기 중 하나로,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감을 은연중에 표현한 <괴물(The Thing from Another World)>(1951), <지구가 멈추는 날(The Day the Earth Stood Still)>(1951) 외 다수의 영화들이 큰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이후 반전·히피 문화의 시대가 열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