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jax

Published Date : 2018년 1월 30일
Author : test2

초대칭(supersymmetry)이란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보손(boson)과 물질을 이루는 페르미온 (fermion)을 서로 바꾸는 대칭이다. (가까운 미래에 LHC 가속기에서 발견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해보지만, 현재까지는 가설적인 대칭이다.) 초대칭성을 가지는 끈을 초끈(superstring)이라 하는데, 끈의 종류에는 두가지가 있다.

끈이론은 중력 그리고 양자장론(quantum field theory)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자면, 닫힌 끈의 진동은 중력자(graviton)을, 열린 끈 진동은 게이지 보손(gauge boson)을 준다(각각의 초대칭 짝도 함께 기술한다).

${ h }_{ \mu }\quad =\quad \lim _{ n->\infty }{ \frac { 1 }{ n } } H(\bigvee _{ i=0 }^{ n-1 }{ { T }^{ -i }(P) } )\\ \quad \quad \quad \quad \quad \quad =\lim _{ n->\infty }{ \frac { 1 }{ n } H(\sum _{ A\in \bigvee _{ i=0 }^{ n-1 }{ { T }^{ -i }(P) } }^{ }{ -\mu A\log { A } } ) } \\ \quad \quad \quad \quad =\lim _{ n->\infty }{ H(P\quad |\quad \bigvee _{ i=0 }^{ n-1 }{ { T }^{ -i }(P)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