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의 퍼즐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2월의 퍼즐에 참여해주신 분 중 정답과 함께 좋은 풀이를 보내주신 임은성님께
HORIZON에서 준비한 선물을 전달드릴 예정입니다.
문제1. \(n = 1, 2\)일 때는 각각 1가지밖에 없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니 \(n \geq 3\)이라고 하자. 맨 위층을 제외한 각 층의 가장자리의 두 점들은 조건 3에 의해 바로 위층의 점과 연결되어야 하지만, 그러한 점이 하나밖에 없으므로 선택지가 하나밖에 없다. 하지만 나머지 \(\frac{(n-2)(n-1)}{2}\)개의 점들은 바로 위의 두 점 중 하나를 선택해서 변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모든 점들에 대해서 선택을 수행하면 크리스마스 트리가 하나 만들어진다. 따라서 가짓수는
\[
2^\frac{(n-2)(n-1)}{2}
\]
이다. \(n = 1, 2\)일 때도 식의 값이 정답인 1이므로 이 식이 바로 원하던 식이다.
문제2. \(n = 1\)일 때 가짓수가 1임은 쉽게 안다. 그러니 \(n \geq 2\)라고 하자. 두 개의 연속된 층과 그 사이에 있는 변을 그리면
와 같이 ‘/’자 모양의 변이 이어지다가 중간에 ‘\’ 모양의 변으로 바뀌고 그것이 끝까지 이어질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을 경우, 순환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와 같은 경우가 중간에 포함될 수밖에 없는데, 상단 가운데에 있는 점 때문에 조건 4에 위배가 된다. 따라서, 각 층과 층 사이마다 어디서 ‘/’와 ‘\’ 사이의 전환이 일어날지만 정해지면 그것으로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 하나가 결정이 되고, 가짓수는
\[
1\times 2\times\cdots\times(n-1) = (n-1)!
\]
이다. \(n = 1\)일 때도 식의 값이 정답인 1이므로 이 식이 바로 원하던 식이다.
문제3. 크기 \(n\)의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는 앞서 구했듯 개수가 \((n-1)!\)가지이다. 또한 \(1, 2, …, n-1\)을 배열하는 순열의 가짓수도 정확히 \((n-1)!\)가지이다. 이 둘을 canonical하게 대응시키는 방법이 있다.
맨 밑층에 있는 \(n-1\)개의 공백에, 각 공백이 몇 칸씩 올라가서 닫히는지를 적어 넣으면 된다. 반드시 1부터 \(n-1\)까지가 전부 하나씩 나올 수밖에 없으며, 하나의 트리에 두 가지 이상의 순열이 대응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순열 하나가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 하나와 정확히 대응된다.
두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는 언제 동등해질까? 첫 번째 트리를 맨 위 꼭짓점에서 잘라 둘로 나눈 것을 각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A\), \(B\)라 하고, 두 번째 트리를 그렇게 나눈 것을 \(A’\), \(B’\)이라 하자. 그러면 (동등한지를 따질 때 맨 위 꼭짓점은 맨 위 꼭짓점으로 대응시킨다 가정한다)
- \(A\)와 \(A’\)가 동등하고, \(B\)와 \(B’\)가 동등하다
- \(A\)와 \(B’\)가 동등하고, \(B\)와 \(A’\)가 동등하다
의 두 경우 중 하나이면 된다. \(n\)이 3 이상이므로 좌우대칭인 안정된 크리스마스 트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 층에 분기점이 2개가 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그러니 여기서 두 번째 경우는 고려하지 않고 첫 번째 경우만 고려해서 개수를 구한 뒤 전체 수를 절반으로 나눠도 거울 대칭에 의해서 똑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그렇게 진행하도록 하자.
여기서 우리는 몇 가지 관찰을 할 수 있다. 트리를 순열로 표기할 때, \((p_1, \cdots, p_k, n-1, q_1, \cdots, q_{n-2-k})\)와 \((r_1, \cdots, r_l, n-1, s_1, \cdots, s_{n-2-l})\)이 첫 번째 경우로 동등하면,
- \(k = l\)이다
- \((r_1, \cdots, r_l)\)은 \((p_1, \cdots, p_k)\)의 재배열이다.
- \((s_1, \cdots, s_{n-2-l})\)은 \((q_1, \cdots, q_{n-2-k})\)의 재배열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p_i\)들을 크기순으로 재배열한 순열을 \((x_i)\)라고 하자. 그럼 \((p_1, \cdots, p_k)\)을 \((x_{\sigma(1)}, \cdots, x_{\sigma(k)})\)로 표기할 수 있고, 재배열이라는 조건을 사용하면 \((r_1, \cdots, r_l)\)을 \((x_{\tau(1)}, \cdots, x_{\tau(k)})\)로 표기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관찰까지 얻을 수 있다.
\(A\)와 \(A’\)가 동등하다 \(\Leftrightarrow\) \((\sigma(1), \cdots, \sigma(k))\)와 \((\tau(1), \cdots, \tau(k))\)가 동등하다.
여기서 오른쪽의 명제는 크기 \(k+1\)의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로서의 동등함을 말하는 것이다. 이 관찰은, \(A\)에서 분기가 나눠지는 층을 제외한 모든 층을 압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면 최후에는 크기 \(k+1\)의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가 하나 나온다는 사실에 기반한다. 또한 방금의 관찰은 \(B\)와 \(B’\)가 동등한지 판정하는 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첫 번째 경우로) 동등한 것을 제외한 크기 \(n\)의 크리스마스 트리는
- 순열의 \(n-1\)개의 칸 중 숫자 \(n-1\)이 어디에 들어갈지 정한다.
- \(n-1\)이 \(k+1\) 번째 칸에 들어갔다고 가정할 때, 그 앞의 \(k\)개의 숫자로 무엇이 들어갈지 (순서에 상관 없이) 정한다.
- 크기 \(k+1\)의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 \(a_{k+1}\)가지 중 하나를 골라서 그것과 대응되게 앞의 \(k\)개의 숫자를 배치한다.
- 크기 \(n-1-k\)의 안정적인 크리스마스 트리 \(a_{n-1-k}\)가지 중 하나를 골라서 그것과 대응되게 앞의 \(n-2-k\)개의 숫자를 배치한다.
의 과정을 통해 하나로 정해진다. 또한 이 방법으로 모든 트리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이 4가지 과정을 통해 생기는 경우의 수를 모두 구하면 그것이 답이다. 이를 그대로 식으로 옮기면,
\[
\sum_{k=0}^{n-2}\binom{n-2}{k}a_{k+1}a_{n-1-k}
\]
이 된다. 앞서 언급한 대로 두 번째 경우의 동등까지 고려하여 전체를 반으로 나누고 index를 조금 고치면
\[
a_n = \frac{1}{2}\sum_{i=1}^{n-1}\binom{n-2}{i-1}a_{i}a_{n-i}
\]
을 얻는다.
참고로, 이 \(a_n\)은 OEIS에도 등록되어 있는 수열이다. 혹시 더 알아보고자 하는 독자들은 한번 들어가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다음은 12월의 정답자로 선정된 임은성님의 해설입니다.
임은성님이 보내주신 상세 페이지에서 좀 더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