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넌과 정보이론 20세기 인물인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 1916~2001은 21세기 과학기술의 아버지라 불릴 만하다. 부...
Mathematics
- 본 글은 2025년 아벨상 선정 이유를 담은 노르웨이 한림원의 공식 발표문 Masaki Kashiwara - The Abel Prize 2025 Ci...
“직각 복도를 통과할 수 있는 가장 큰 소파는 무엇인가?” 그림 1: 소파 문제 이 단순한 질문은 수학계에서 반세...
저는 다음 질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해 보고 싶습니다. 어떤 계의 특정 시점에서의 상태를 안다고 했을 때, 우리는 그 계...
지난 연재에서는 차익거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매우 단순한 금융시장 모형에서 차익거래가 존재할 수 없는 조건과 수...
이번 글은 연재 시리즈 중 약간 쉬어가는(!) 느낌으로, 이전 글([2])에서 예고하였던 내용을 다룰 다음 연재글을...
1유향곡면이 아닌 곡면의 예시는 뫼비우스 띠와 클라인의 병이 있다. 지난 글에서는 그래프와 그 대칭군에 대해 알아보...
들어가며 내 전공이 암호학이라고 소개하면, 대개 “우와!”하며 신기해한다. 아마도 ‘암호’라는 단어가 주는 비밀스럽고 ...
우리가 사는 세상은 3차원,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을 포함해서 4차원 공간이라고들 한다. 그렇다면 그보다 낮은 ...
금융수학은 수학과 경제학을 연결하는 학문으로, 이 분야에서 등장하는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차익거래arbitrage라는 ...
일변수 다항식 대수 지난 연재 글에서 유리수체 \(\mathbb{Q}\) 위에 정의된 벡터공간의 예로 $$\mathbb{Q}[x] = \{ \mb...
PINN의 한계 우리는 지난 1부에서 PINN의 원리와 기존의 수치해석을 대체할 수도 있을 수준의 장점이 어떤 것이있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