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는 글 카페 한구석에 앉아 커피잔을 들여다본 적 있으신가요? 잔 속에서 빛줄기가 벽에 부딪히고, 다시 흩어져 이...
Mathematics
들어가며 우리는 본 연재 시리즈를 통하여 벡터공간 혹은 대수의 표준기저라는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고 있다. 벡터공간...
1976년, 디피Whitfield Diffie; 1944~와 헬만Martin Hellman; 1945~은 제목부터 심상치 않은 논문 <New Directions in C...
돌아보기 벡터공간은 집합으로서 원소끼리의 덧셈 연산이 주어져 있고, 각 원소에 상수를 곱하여 크기를 늘였다 줄였다 ...
여는 말 인공지능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분명한데 수학도 바꿀까요? 현재 수학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리만가설을 인...
이 시리즈에서는 여러 공간의 쌍곡성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차원 물체, 즉 곡면만 집중해서 보겠습니다....
우리는 유한한 세상에 살아가지만 그 너머의 무한한 세상에 대한 궁금증을 갖곤 한다. 처음 숫자를 배우는 아이에게는 ...
섀넌과 정보이론 20세기 인물인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 1916~2001은 21세기 과학기술의 아버지라 불릴 만하다. 부...
- 본 글은 2025년 아벨상 선정 이유를 담은 노르웨이 한림원의 공식 발표문 Masaki Kashiwara - The Abel Prize 2025 Ci...
“직각 복도를 통과할 수 있는 가장 큰 소파는 무엇인가?” 그림 1: 소파 문제 이 단순한 질문은 수학계에서 반세...
저는 다음 질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해 보고 싶습니다. 어떤 계의 특정 시점에서의 상태를 안다고 했을 때, 우리는 그 계...
지난 연재에서는 차익거래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매우 단순한 금융시장 모형에서 차익거래가 존재할 수 없는 조건과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