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두 개의 글 “확률모형 사이의 거리”와 “충분통계량과 f-거리”에서 우리는 쿨백-라이블러 거리Kullback-Leibler div...
앞선 두 개의 글 “확률모형 사이의 거리”와 “충분통계량과 f-거리”에서 우리는 쿨백-라이블러 거리Kullback-Leibler div...
지난 글(클릭 시 1편으로 연결)에서 우리는 확률모형 사이의 거리를 어떻게 정의할지 생각해 보았다. 특히 쿨백-라이블...
머신러닝의 모형은 크게 분류모형과 생성모형으로 구별된다. 이들은 확률을 써서 일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분류모형...
주어진 데이터를 설명하는 최소한의 모형은 어떤 모습일까? 앞선 세 번의 연재에서는 그래프 기반의 신경망 모형을 소개...
정보량을 수치화 할 수 있을까? 1948년 벨 연구소의 클로드 섀넌Claude Shannon은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
기억Memory은 어떻게 형성되는 것일까? 우리의 뇌는 어떻게 경험을 기록하고, 어떻게 저장된 기억을 꺼낼까? 이 질문은 ...
우리 뇌는 어떻게 학습할까? 뇌의 연결망을 훔쳐본 과학자는 이 궁금증을 풀었을까? 인간의 뇌에는 밤하늘의 은하를 이...
가입 시 사용하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시면
비밀번호 재설정 방법을 이메일로 안내해 드립니다.
회원 가입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받아보세요.
입력하신 이메일 주소
로
인증 메일이 발송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