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의 재발견[1]: 액화의 역사

“만약 지구가 태양에 조금 더 가까워서 기온이 물의 끓는 점보다 높았다면 대부분의 액체들, 심지어 일부 금속들도 기체가 되어 대기를 형성했을 것이다. 반면에 지구가 목성이나 토성처럼 조금 더 추운 곳에 있었다면, 강과 바다의…

펜타쿼크 이야기

아일랜드 출신의 소설가 제임스 조이스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1882-1941는 무려 17년에 걸쳐 책을 한 권 썼다. 거기에는 아일랜드 신화와 민요가 들어있었고, 수십 종류의 언어와 익살이 가득 채워져 있었다. 그리고 현실인지 환상인지 농담인지…

NISQ 시대의 양자 컴퓨터

이전 글 “양자 우월성”에서 말했듯이 구글은 작년에 ‘양자 우월성’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구글이 양자 컴퓨터를 이용해서 수행한 작업은 비록 유용한 일은 아니지만, 이들은 실제로 고전적인 컴퓨터로는 매우 하기 힘든 계산을 양자컴퓨터로 수행해냈고 계산…

[2월의 퍼즐] 미로 속의 암소

매월 정답자 한 분을 선정하여 고등과학원에서 소정의 상품을 드릴 예정입니다  퍼즐 참여는 2월 25일까지 가능하며 다음달 초 해설과 함께 정답자가 공개됩니다 (답안과 함께 이름, 연락처를 남겨주셔야 정답자 선정 연락이 가능합니다!)   올해는 음력으로…

[1월의 퍼즐 해설] 코로나 시대의 행사 준비

1월의 퍼즐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월의 퍼즐에 참여해주신 분 중 정답과 함께 좋은 풀이를 보내주신 김한옥님께 HORIZON에서 준비한 선물을 전달드릴 예정입니다. 1월의 퍼즐 문제 보러가기 사용하지 않은 손소독제 12병은 최대 120명이 사용할…

불멸의 힐버트 [5]: 곡선의 모양을 찾아라

르네상스 시대 유명 화가들이 수학자들이었던 것은 원근법을 통해 사실적인 묘사가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실제로 원근법을 체계적으로 완성한 것은 17세기의 수학자 데자그르Girard Desargues, 1591-1661였으며 그 기반은 사영기하학에 있었다. 원근법에서 캔버스의 한 점은 눈과 그…

포스트휴먼은 과연 올 것인가

우리는 포스트휴먼 시대를 살고 있는가? 아직 아니라면 앞으로 포스트휴먼 시대가 도래하긴 할 것인가? 인간은 인간이 아니면서도 인간 같은 존재, 혹은 인간이면서도 인간을 넘어서는 존재라는 포스트휴먼과 곧 대면하게 될 것인가? 포스트휴먼이 상상이 아닌…

2020년 아벨상 수상자 그레고리 마굴리스

On the work of Gregory Margulis   2020년 그레고리 마굴리스Gregory Margulis 예일대 교수는 힐렐 퍼르스텐버그Hillel Furstenberg 히브리대 명예교수와 함께 확률론과 동역학의 새로운 응용, 특히 군론, 정수론과 조합론에의 응용을 개척한 공로로 아벨상을 공동 수상하였습니다.…

[12월의 퍼즐 해설] 수를 굽는 마법의 오븐

12월의 퍼즐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12월의 퍼즐에 참여해주신 분 중 정답과 좋은 풀이를 보내주신 네 분을 선정했습니다. 문제1 정수현, 문제2 김종일, 문제3 장필훈, 문제4 이광현  12월의 퍼즐 문제 보러가기 이번 문제는 직접…